티스토리 뷰

다른 사람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받게 되면 취득한 재산에 대해서 조세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이를 증여세라고 하며 상속세에 대한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만약 상속세만 부과된다면 생전에 증여를 통해 이를 피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상황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확인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부동산 증여세 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오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증여세 같은 경우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은 10%에서 최대 50%까지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높은 금액일수록 부담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누진공제도 있고 증여자의 관계에 따라 공제금액도 있지만, 적지않은 금액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면 이를 확인해 보기 위해 인터넷 검색창을 이용하여 부동산114 홈페이지를 조회 후 방문해 주세요. 메인 화면 오른쪽에 보면 알아두면 편리한 서비스라는 것이 있는데 이를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증여세 계산기를 이용하기 위해 화면 중앙에 있는 증여세 메뉴를 선택하여 이동하면 됩니다. 




계산을 진행하기 위해 증여인과의 관계 및 증여총액, 채무, 10년 이내 증여받은 재산, 10년 이내 증여받은 재산의 증여세를 입력한 뒤 계산 버튼을 누릅니다.




예를들어 직계존속을 통해 1억원이라는 금액을 증여받고 1천 5백만원의 채무가 있다고 가정하고 확인해 보았는데요. 납부할 금액은 총 333만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네요. 




이것으로 부동산 증여세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사이트에서는 추가적으로 다양한 세금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으니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겠네요. 



댓글